목록분류 전체보기 (21)
밤톨코딩
📌 이슈 사항주석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특정 코드의 목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이번 인수인계 받은 파이썬 프로젝트(FastAPI)에서 소스코드에 대한 설명이 전혀 작성되어 있지 않아서,이번에 주석을 달면서 기능 개선을 하려고 한다.(주석 하나 안 달아 놓은 건 무슨 심보인가? 🤯) 파이썬 주석에 대해서 찾아보니 클래스(class), 함수(function), 메서드(method) 등에 주석을 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 한 줄 주석한 줄 주석은 # 기호를 사용하여 작성된다.# 이것은 한 줄 주석입니다.x = 10 # 변수 x에 10을 할당 2️⃣ 여러 줄 주석여러 줄 주석은 일반적으로 큰따옴표(""" """") 또는 작은따옴표(''' ''')를 사용하여 ..
🍭 Git revert 이란?git revert는 Git에서 커밋의 변경 내용을 되돌리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기존의 커밋 기록은 유지하면서, 특정 커밋의 변경 사항을 반대로 적용하여 새로운 커밋을 생성한다.이는 기존 기록을 삭제하거나 덮어쓰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되돌리기" 방법으로 취급된다. 📌 revert 사용법기본 사용법git revert [옵션] 취소_대상_커밋해시 주요 옵션옵션설명-n 또는 --no-commit- 되돌리는 작업은 수행하지만, 새로운 커밋은 생성하지 않고, 변경 사항이 staging area에만 적용된다.- 이후 변경 사항을 확인하거나 수동으로 커밋이 가능하다.-m 부모번호- 머지 커밋을 되돌릴 때 사용되며, 부모 중 어떤 것을 기준으로 되돌릴 것인지 지정한다.- mer..
📌 이슈 사항테스트 환경에서 운영 서버의 검색엔진과 연결하여 실행이 필요하게 되었다.테스트 환경의. env.production에 운영 서버의 검색엔진의 정보를 입력하고 빌드를 한 후에 접속을 하였는데, 개발환경의 검색엔진에 접속하게 되었다.즉, 빌드하는 과정에서 .env.production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던 것이다. 🕹️ 해결 사항NODE_ENV가 .env.production 파일 대신. env.development를 읽은 것은 정상적으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빌드를 할 때 production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여 빌드하였더니, 정상적으로 .env.production을 읽게 되었다. # 빌드NODE_ENV=production yarn build
🎯 이슈 사항시스템을 유지보수 하다 보면 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때가 발생해서 쓸모가 없는 파일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그런데 이 파일들이 현재 사용 중인지 아니면 현재 운영 중에 사용 중인지 조금 헷갈릴 때가 있다.예를 들면 현재 MairaDB를 운영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정리해야 할 디렉터리에 mariadb라는 디렉터리가 여러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사용 중이지 않은 데이터는 압축하여 임시 보관하려고 하는데, 어느 것이 운영 데이터인지 확인 필요하게 되었다. 📜 설정 파일 확인MariaDB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디렉터리를 설정파일에서 정의하고 있다.리눅스 환경에서는 /etc/my.cnf 또는 /etc/mysql/my.cnf에 위치하고 있다.# 1. 설정 파일 열기vi my.cnf# 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tcSk/btrSpk7xzTi/PZZcBUMUqzgNdekjTvpGoK/img.png)
문서를 작성할 때 정해진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하나 입력하는 것보다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select box를 통해서 입력하는 것이 편한다. 엑셀(Excel)에서는 드롭 박스라고도 불리는 것 같다. 사용 예제 먼저 다음과 같이 표를 작성해 보았다. 현재 이름이 작성되어 있고, 수강 언어에는 select box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입력할 예정이다. 다음은 다른 시트를 생성해서 수강 언어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해 준다. 다시 작성한 표가 있는 시트로 돌아와서 select box를 사용하고 싶은 셀(cell)을 드래그하여 선택한다. 메뉴에서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 - [데이터 유효성 검사] 순으로 클릭하여 진행한다. 데이터 유효성 검사 창이 생기면 [제한 대상]에서 목록으로 선택한 후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HLV6/btrSsnPdeF8/nK8yaOGjYAwAa4kZI7KDJ1/img.png)
어떠한 데이터에는 절대 변해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고, 한글이나 특수 문자들이 사용되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다. 가끔 엑셀(Excel)이나 CSV 파일로 읽어 들이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문자나 공백이 들어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불필요한 문자는 지울 수 있도록 replaceAll 함수를 사용한다. replaceAll( String regex, String replacement ) 사용 예제 사용 예제에서는 회원번호는 영문 대소문자와 숫자만 들어가야하는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하지만 데이터를 읽어 들어오는 과정에서 다른 문자들이 포함되었을 때 이것을 제거하는 코드를 작성하였다. replaceAll에 들어가는 정규식은 a부터 z까지, A부터 Z까지, 0부터 9까지 아닌 문자가 있을 경우 "" 즉 아무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V0NG/btrShBmppGQ/2DNKNncmiUCvFLEGMOaAU1/img.png)
프로젝트에서 JS 파일을 수정 후에 적용하였는데, 웹 브라우저(크롬)에서 적용이 안 되어서 실행이 안 되고 에러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JS 파일의 쿠키가 남아 있어 변경된 JS 파일을 읽어오지 않아서 발생한 원인일 수 있다. 당황하지 말고 브라우저의 쿠키를 삭제해 보도록 한다. 크롬의 기준으로 오른쪽 상단에 설정 표시 마크를 클릭한 후에 [설정] 버튼을 클릭해 준다. 왼쪽 사이드바에 설정에 대한 메뉴가 나타나는데, [개인정보 및 보안]을 클릭한다. 개인정보 및 보안에 들어가면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 버튼을 클릭한다.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메뉴에서 쿠키를 삭제 해줘야 하는데, [기본] - [전체 기간] - [체크]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순으로 진행한다. 나의 경우, 이렇게 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mIngf/btrR9Gb8Qq7/418mEnnRaGMpCrExHiGkd0/img.png)
자바(Java)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String index out of range 숫자와 같은 에러를 종종 확인할 수 있다. 발생하는 이유는 substring과 같은 함수로 문자열을 자를 때 잘라야 할 문자열이 정해진 값보다 작아서 발생할 때 생기는 에러이다. 그러므로 당황하지 말고 문자열의 크기만큼 조절해 주면 해결할 수 있다. 다음 예시는 "12345"라는 5자리의 문자열을 선언한 후, substring 함수를 사용하여 처음부터 6자리까지 자르도록 코드를 작성해 보았다. 그 후에 콘솔에 그 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 5자리 문자열 String str = "12345"; // 자른 문자열 담을 객체 String newStr = ""; // 문자열 자르기 try { // 6자리까지 잘라내기 ..